우린 평창에 맥주 마시러 간다! 화이트크로우 양조장
2020.07.31
우린 평창에 맥주 마시러 간다! -화이트크로우 양조장-
Drink Local, Enjoy Pyeongchang at White Crow Brewing
강원도는 늘 멀게 느껴진다. 북쪽으로는 38선을 경계로 북한을 마주하고 있고, 동쪽으로는 바다가 있어서 왠지 더 나아갈 수 없는 경계의 느낌이 들기도 하거니와, 태백산맥이 종으로 뻗어 있어 내가 어릴 적부터 두메산골 이미지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고속도로 사정이 좋아지고 고속철도 KTX가 생겨서 어지간한 도시는 두시간 남짓이면 갈 수 있는데도 여전히 강원도는 큰 맘 먹고 가게 된다.
강원도 평창에 있는 화이트크로우 양조장을 처음 방문하기까지 거의 2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던 이유는 그 마음의 거리 때문이었던 것 같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은 결국, 움직이려 마음먹는 순간 마음의 거리는 이미 반으로 줄어든다는 의미일 것이다. 스키 리조트가 두 개나 있을 만큼 산이 많은 평창에서 고속도로를 벗어나니 꼬불꼬불 고갯길을 달려야만 했다. ‘왜 이런 데 맥주 양조장을 만들었을까?’ 하는 생각과 함께 내비게이션이 길을 잘못 가르쳐 주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심을 품을 즈음 작은 간판이 하나 보였다.
Gangwon-do always feels far away. To the north side, it faces North Korea through the 38th parallel, and to the east side, it feels like a borderline where I cannot move further. Furthermore, the Taebaek Mountains stretch out vertically, that have given me from my early age the image of remote countryside. Since the highway situation has improved and KTX on the high-speed railway has been established, it takes just about two and a half hours to get to, but Gangwon-do still requires me some kind of resolution to visit.
The reason why it took me almost two years to visit the White Crow Brewing in Pyeongchang of Gangwon-do for the first time, seems to have been due to a distance of mind. The word "Well begun is half done" may mean that the distance of the mind will be already halved the moment you decide to move. As I left the highway in Pyeongchang, where there were so many mountains to have two ski resorts, I had to run along the winding hill. There was a small sign around the moment when I suspected that navigation might be teaching me the wrong way, along with the thought, "Why would someone build a beer brewery here?"
White Crow Brewing!
화이트 크로우(White Crow)는 평창의 옛 이름인 백오(白烏)를 영어로 표현한 이름이다. 귀한 흰 까마귀처럼 특별한 맥주를 만들고자 양조장 이름을 이렇게 지었다고 한다.
오지에 양조장을 만든 장본인은 특이하게도 캐나다에서 온 레스 팀머만스(Les Timmermans)다. 2006년 한국에 온 레스는 서울에서 5년간 영어 선생님을 하다가, 아내와 함께 푸른 산으로 둘러싸인 평창에 왔다. 공립학교에서 영어를 계속 가르치면서 그는 ‘완벽한 전원생활을 위해서는 맥주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홈브루잉을 시작하고 양조 실력을 쌓았다. 2015년 캐나다로 돌아가 양조 전문 대학에서 2년간 본격적으로 양조를 공부한 뒤, 한국으로 컴백, 평창에 화이트크로우 양조장을 설립하게 되었다. 지난해 휴먼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인간극장’에 출연하면서 레스는 지역의 유명인이 되었고 아직도 재방송을 보고 전국에서 찾아오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White Crow is a name that expresses in English the old name of Pyeongchang, Baekoh. It is said that the brewery was named to make a special beer like a precious white crow.
The owner of the brewery who established it in this backcountry is, interestingly, Les Timmermans from Canada. Les came to Korea in 2006 and taught English in Seoul for five years. Then he moved to Pyeongchang, surrounded by blue mountains with his wife. Continuing to teach English at public schools, he started home-brewing and built his brewing skills, thinking that "a perfect rural life requires beer." After returning to Canada in 2015 to study brewing in earnest for two years at a university specialized at brewing, he came back to Korea again and established White Crow Brewing in Pyeongchang. Last year, when he appeared in the human documentary program "Screening Humanity," Les became a local celebrity, and still many people come from all over the country after watching the rerun.
맥주 축제나 행사장에서 만날 때마다 평창에 한 번 오라던 그의 말에 꼭 한번 가겠노라고 대답하고는 계속 못 갔는데, 7월 초입의 어느 금요일에 양조장 잔디밭에서 클래식 공연이 있으니 시간 되면 꼭 오라는 연락을 받았다. 산으로 둘러싸인 양조장은 주변이 온통 초록색이었고, 파란 하늘에 솜사탕 같은 흰 구름과 계절을 알리는 노란 꽃이 색깔을 더해 그야말로 한 폭의 그림이었다.
50여 대의 차량이 빼곡할 만큼 주차장이 꽉 차 있었고, 어디서 어떻게 알고 찾아왔는지 궁금증을 자아내는 사람들이 테이블에 잔디밭에 앉아서 맥주를 마시고 있었다. 돗자리를 깔고 앉아 피자와 맥주를 마시는 한 무리의 가족은 마치 맥주 소풍이라도 온것처럼 즐거워 보였다. 한쪽에 마련된 작은 무대에서는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뮤지션이 공연하고 있었으며, 옹기종기 모여 앉아 음악을 들으며 마시는 맥주는 그야말로 환상이었다.
Whenever I met him at a beer festival or event venue, he used to ask me to come to Pyeongchang but I couldn't go. Meanwhile, I was invited to a classical performance on the lawn of the brewery one Friday at the beginning of July. Surrounded by mountains, the brewery was all green around, and the blue sky was simply a picture with cotton candy-like white clouds and yellow flowers announcing the season.
The parking lot was packed enough with some 50 cars, and people were sitting on the lawn at the table drinking beer. A group of families sitting on mats and enjoying pizza and beer looked as if they had come on a beer picnic. On one side of the small stage, a local-based musician was performing. Drinking beer while sitting together listening to music was a simply fantastic experience.
수제맥주가 편의점을 통해 만원에 네 캔으로 판매될 정도로 흔해진 요즘, 크래프트 맥주의 의미가 무엇인지 가끔 되새겨 볼 때가 있다. 화이트크로우의 멋진 로컬 콘텐츠를 보면서 이게 진짜 로컬 양조장의 모습이 아닌가 생각했다.
모두가 대형화할 필요가 없고 모두가 편의점에 들어갈 필요도 없다. 거기에 못 들어간다고 조바심낼 필요도 없고, 그렇게 유통한다고 다 만족스런 결과로 귀결되는 것도 아니다. 이럴수록 지역의 특색에 맞는 맥주를 개발하고 지역의 스토리를 발굴하여 이웃들과 어우러진다면 충분히 경쟁력 있는 수제맥주 양조장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한 시간이었다. 환경을 잘 활용한 공간이 있고, 그 공간을 독보적인 콘텐츠로 채운다면 사람들은 물리적인 거리를 극복하고 마음을 움직여 그곳에 다다를 수 있음을 새삼 확신했다. 평창 메밀로 만들었다는 맥주 한잔을 마시면서, 예까지 찾아온 이들의 마음의 거리를 없앤 맥주와 사람의 매력에 대해 생각한다. 평창의 밤은 깊어가고 맥주는 더 당긴다.
Nowadays, craft beer is so common that it sells for four cans at 10,000 won through convenience stores, and I sometimes reflect on what craft beer means. Watching the wonderful local content of White Crow, I thought this was the authentic local brewery.
It is not necessary for everyone to make the production large and to go into convenience stores. We don't have to worry about not being able to get in there, and that way of distribution doesn't always lead to satisfactory results. It was time to visually confirm that it would be a competitive craftsmanship to develop beer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discover local stories and be combined with the neighbors. If there is a space that makes good use of the environment and fills it with unique content, people would be surely convinced to overcome physical distance and move their minds to get there. While drinking a glass of beer made of buckwheat produced in Pyeongchang, I think about the charm of beer and people, which have eliminated the distance between the people who have come to visit for long. The night in Pyeongchang is getting deeper and beer is more and more tempting.
여기 고라니 에일 한 잔 더⋯
Another glass of Gorani Ale, please⋯
에디터(Editor): 이인기 Inki Lee
사진(Photographer): 이인기 Inki Lee
번역(Translator): 홍희주 Hiju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