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맥주 품질과 풍미, 이제 비오메리으와 함께 하세요2025.05.28맥주 품질과 풍미, 이제 비오메리으와 함께 하세요 Ensure Beer Quality and Flavor – Now with bioMérieux 맥주 양조에 있어 품질 유지는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다. 이를 위해 많은 양조장들은 품질 유지를 위해 엄선된 원재료를 사용하고, 일관된 프로세스로 맥주를 만들기 노력한다. 그러나 미생물로 인한 맥주의 변질은 예기치 못한 손실을 야기할 수 있으며, 때로는 독특한 풍미를 위한 야생 효모의 사용으로 인해 오히려 제품 품질 관리의 복잡성을 더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Maintaining consistent quality is a fundamental aspect of beer brewing. To achieve this, many breweries use carefully selected ingredients and follow consistent brewing processes. However, microbial contamination can lead to unexpected product spoilage, resulting in losses. The use of wild yeasts to create unique flavors can further complicate quality control processes. 최근 Brettanomyces와 같은 야생 효모를 이용하여 독창적인 풍미를 표현하려는 브루어들이 증가하고 있다. 균주가 가지는 독특한 풍미적 특성을 맥주에 담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적인 맥주에 이러한 균주가 유입될 경우, 의도하지 않은 교차 오염이나 품질 불균형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각 공정별로 철저한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Lactobacillus, Pediococcus, Megasphaera, Pectinatus 등은 맥주의 맛, 향, 색 등 전반적인 품질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미생물이다. 특히 이러한 미생물은 맥주의 저장 중 또는 병입 후에도 이취 또는 변질을 유발할 수 있어, 사전 검출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Recently, more brewers have been turning to wild yeasts such as Brettanomyces to produce distinctive flavors. While these strains offer unique sensory profiles, their unintended presence in regular beer can lead to cross-contamination and imbalanced quality. Therefore, rigorous monitoring and management at each stage of production are essential. Moreover, microorganisms like Lactobacillus, Pediococcus, Megasphaera, and Pectinatus are known to negatively affect the overall quality of beer, including its taste, aroma, and color. These microbes can cause off-flavors or spoilage even during storage or after bottling, making early detection and control critically important. GENE-UP® BREW, 예상치 못한 맥주의 오염에 대응하는 솔루션 GENE-UP® BREW – A Solution Against Unexpected Beer Contamination 비오메리으의 GENE-UP® BREW Bacteria Plus 키트는 PCR 기반의 기술을 통해 맥주의 변질이나 교차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미생물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전통적인 배양법 대비 훨씬 빠른 시간 내에 결과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bioMérieux’s GENE-UP® BREW Bacteria Plus Kit utilizes PCR-based technology to rapidly detect microorganisms that can cause beer spoilage or cross-contamination. Compared to traditional culturing methods, it provides faster and more intuitive results. Rogue Ales & Spirits사 Matt Fulcher “몇 시간 안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유용합니다.” “The ability to see results within hours is extremely useful.” Victory Brewing Company사 Zach Miller “전통적인 방법보다 훨씬 빠르게 맥주의 오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It allows us to detect contamination far more quickly than traditional methods.” 비오메리으의 GENE-UP® BREW Wild Yeast 키트는 Dekkera/Brettanomyces를 포함한 다양한 야생 효모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사용 중인 균주의 존재 여부와 순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통해 의도하지 않은 야생 효모의 유입 여부도 함께 확인할 수 있어, 공정 내 리스크를 줄이고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The GENE-UP® BREW Wild Yeast Kit from bioMérieux accurately detects various wild yeasts, including Dekkera/Brettanomyces, helping breweries confirm the presence and purity of strains in use. This also allows detection of unintended wild yeast contamination, significantly reducing risks and ensuring consistent quality throughout production. Russian River Brewing Company사 Taylor Lane “GENE-UP® BREW의 높은 검출력 덕분에 공정 전반에 걸쳐 리스크 평가가 가능해졌습니다.” “With the high detection capability of GENE-UP® BREW, we’re now able to assess risks throughout our entire process.” Melvin Brewing Company사 Sara Gertsch “출고 전, 당일 안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큰 안심이 됩니다.” “Being able to confirm results the same day before shipping gives us peace of mind.” 전 세계 350개 이상의 양조장에서 이미 비오메리으의 GENE-UP® BREW를 도입하여 맥주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맥주의 오염 가능성을 낮추고, 오염으로 인한 제품의 폐기 및 재포장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대한민국 양조 업계에서도 이러한 선진 솔루션을 통해 품질 경쟁력을 높이고, 차별화된 풍미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ver 350 breweries worldwide have already implemented bioMérieux’s GENE-UP® BREW solutions to maintain beer quality. These tools help reduce the risk of contamination and associated costs from product disposal and re-packaging. The Korean brewing industry is also expected to enhance its quality competitiveness and reliably deliver unique flavors using such advanced solutions. [ 비오메리으 GENE-UP® BREW 제품의 강점 요약] [Key Benefits of bioMérieux’s GENE-UP® BREW] - 다양한 균 관리: 변질을 유발하는 다양한 박테리아 및 야생 효모 검출 - 빠른 결과 제공: 실시간 PCR 기술을 활용하여 3시간 이내에 결과 확보 - 사균 선별 검출 기능: Viability Kit로 저온살균이나 드라이 호핑 이후에도 살아있는 미생물 여부 확인 - 사용 편의성: 별도의 고급 교육 없이도 양조장 실험실에서 누구나 쉽게 사용 가능 - 문제 사전 예방: 오염이 확산되기 전 조기 탐지 가능 - 브랜드 신뢰도 향상: 일관된 품질 유지로 소비자 만족과 브랜드 신뢰 확보 Comprehensive microbial detection: Identifies various spoilage bacteria and wild yeasts Fast results: Results available within 3 hours using real-time PCR Viability detection: Viability Kit distinguishes live microorganisms even after pasteurization or dry hopping User-friendly: Easy to use in brewery labs with no need for advanced training Early prevention: Detects issues before contamination spreads Enhanced brand trust: Ensures consistent quality, leading to higher consumer satisfaction and brand credibility About bioMérieux 프랑스에 본사를 둔 bioMérieux(비오메리으)는 미생물 분석 분야에서 60년 이상의 전문성을 가진 기업으로, 전 세계 160여 개국의 제약, 식품, 임상 분야에 진단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력은 양조 산업에도 접목되어, 맥주 품질을 정밀하고 신속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GENE-UP® BREW라는 미생물 분석 솔루션을 탄생시켰다. Headquartered in France, bioMérieux has over 60 years of expertise in microbiological diagnostics, serving pharmaceutical, food, and clinical sectors in more than 160 countries. This technological strength has extended into the brewing industry, giving rise to the GENE-UP® BREW solution for precise and rapid beer quality control. 보다 자세한 정보는 비오메리으코리아로 문의주세요. For more information, please contact bioMérieux Korea. ■ 전화(Phone) : 02-2188-4726 ■ Email : ML-KR-IND-MKT@biomerieux.com
-
세계 최고 권위의 맥주 대회, ‘월드비어컵 2025’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성황리에 개최2025.05.09World’s Most Prestigious Beer Competition, ‘World Beer Cup 2025,’ Successfully Held in Indianapolis IPA의 여전한 인기, 메달 획득을 위한 치열한 경쟁이 펼쳐져 IPA styles remain popular, with fierce competition for medals 아시아 맥주의 약진, 일본 13개 메달 획득으로 미국 다음 두 번째 Rise of Asian beers, Japan wins 13 medals—second only to the U.S. 2025년 5월,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의 인디애나 컨벤션 센터에서 ‘2025 월드비어컵(World Beer Cup®)’ 시상식이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미국 소규모 독립 양조장을 대표하는 비영리 단체인 미국 양조자 협회(Brewers Association: BA) 주관으로 열리며,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업 맥주 및 사이다 품평회로 인정받고 있다. 이번 대회는 국제 심사위원 132명을 포함해 37개국에서 온 265명의 심사위원이 7일 동안 14회에 걸쳐 심사 세션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349개국 1,761개의 양조장과 사이더리가 117개 카테고리(맥주 112개, 사이더 5개)에 출품한 8,375개의 작품을 체계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총 349개의 메달이 수여되었다. 월드비어컵 대회 디렉터 크리스 윌리엄스(Chris Williams)는 “이번 수상자 명단은 전 세계 크래프트 브루어리와 사이더리들이 헌신과 열정을 통해 어떤 수준의 기술력을 구현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라며, “이들은 업계 표준을 재정의하며 혁신과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In May 2025, the awards ceremony for the 2025 World Beer Cup® was successfully held at the Indiana Convention Center in Indianapolis, USA. Hosted by the Brewers Association (BA), a nonprofit organization representing small and independent American craft brewers, the competition is widely recognized as the most prestigious professional beer and cider competition in the world. This year’s event featured 265 judges, including 132 international judges from 37 countries, who conducted 14 tasting sessions over seven days. A total of 8,375 entries from 1,761 breweries and cideries across 49 countries were evaluated in 117 categories (112 beer and 5 cider), and 349 medals were awarded. Chris Williams, Competition Director of the World Beer Cup, stated, “This year’s winners exemplify the level of skill and dedication that craft brewers and cider makers across the world bring to their craft,” adding, “They are redefining industry standards and fostering innovation and healthy competition.” 크래프트 맥주의 트렌드를 이끄는 스타일: Hazy IPA와 West Coast IPA Leading Craft Beer Trends: Hazy IPA and West Coast IPA 이번 대회에서 가장 치열한 경쟁을 보인 부문은 ‘Juicy or Hazy India Pale Ale’(290개 출품), ‘West Coast-Style India Pale’(253개), ‘American-Style IPA’(208개), ‘German-Style Pilsener’(186개)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IPA 계열의 스타일이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크래프트 맥주 스타일임을 입증했다. The most hotly contested categories were ‘Juicy or Hazy India Pale Ale’ (290 entries), ‘West Coast-Style India Pale’ (253 entries), ‘American-Style IPA’ (208 entries), and ‘German-Style Pilsener’ (186 entries). These results confirm that IPA styles remain the most popular craft beer styles globally. 아시아 맥주의 비약적인 도약 – 일본과 중국의 두각 Asian Craft Beer on the Rise – Japan and China Stand Out 이번 월드비어컵 2025에서는 일본 맥주가 총 13개의 메달(금 5, 은 3, 동 5)을 수상하며 미국을 제외한 국가 중 가장 많은 수상 기록을 세웠다. 이는 일본 크래프트 맥주의 기술력과 개성 있는 스타일이 국제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중국은 총 6개의 메달(금 1, 은 3, 동 2)을 획득하며 아시아 국가 중 2위를 기록했으며, 대만과 홍콩의 양조장도 각각 금메달과 동메달을 수상하는 등 아시아 전반의 크래프트 맥주 품질의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한국은 아쉽게도 올해 수상작을 배출하지 못했으나 2026 대회에서는 한국 맥주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t the 2025 World Beer Cup, Japanese breweries took home a total of 13 medals (5 gold, 3 silver, 5 bronze), the highest number of medals for a country other than the United States. This achievement highlights the technical prowess and unique styles of Japanese craft beer, showcasing their growing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China also performed strongly, winning 6 medals (1 gold, 3 silver, 2 bronze), placing it second among Asian countries. Breweries from Taiwan and Hong Kong also won gold and bronze medals, respectively, underscoring the rising quality of craft beer across Asia. Although Korea did not win any awards this year, there is hope that Korean craft beer will achieve notable results at the 2026 competition.
-
Craft Brewer Conference & BrewExpo America (CBC) 20252025.04.25미국 최대의 맥주산업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Craft Brewer Conference & BrewExpo America (CBC) 2025가 현지시각 4월 28일부터 5월 1일까지 미국 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의 인디애나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다. 맥주를 중심으로 주류산업 전반을 다루는 이 행사는 다양한 주제로 강연을 하는 Craft Brewers Conference와 함께 맥주산업 전시회인 BrewExpo America가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3일간 동시에 개최된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와 함께 가장 권위있는 맥주 대회인 World Beer Cup의 시상식도 함께 열린다. The Craft Brewer Conference & BrewExpo America (CBC) 2025, the largest communication platform for the U.S. beer industry, will take place from April 28 to May 1, 2025, at the Indiana Convention Center in Indianapolis, Indiana. This event covers not only beer but also the broader alcoholic beverage industry. It includes the Craft Brewers Conference, featuring a variety of lectures on industry topics, and the BrewExpo America, a beer industry exhibition that will run concurrently for three days from April 29 to May 1. Additionally, the event will host the awards ceremony for the World Beer Cup, the largest and most prestigious beer competition in the world. 이번 컨퍼런스에는 12개분야 60개 이상의 교육 세미나가 준비되어 있다. 4월 29일 기조연설에는 Trillium의 창립자인 Esther와 JC Tetreault가 혁신, 지속가능성, 성장, 회복력에 대한 연설을 한다. 2013년 창립한 Trillium은 세계 최고 수준의 맥주를 선보이는 양조장이다. 4월 30일에는 미국 양조자 협회(Brewers Association: BA)의 회장이자 최고경영자인 Bart Watson이 연례 State of the Craft brewing Industry 프레젠테이션에서 변화하고 있는 시장에 관해 이야기한다.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와 크래프트 맥주 및 음료 산업에 대한 전망과 함께 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을 탐색하는 방법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Lagunitas Brewing, Kona Brewing, Sierra Nevada Brewing Co, 등에서 온 강연자들이 다양한 주제로 강연을 한다. This year’s conference will feature over 60 educational seminars across 12 categories. The keynote speech on April 29 will be delivered by Esther and JC Tetreault, founders of Trillium, who will discuss innovation, sustainability, growth, and resilience. Founded in 2013, Trillium is recognized as one of the world’s top breweries. On April 30, Bart Watson, President and CEO of the Brewers Association (BA), will present the annual State of the Craft Brewing Industry address, offering insights into the evolving market. Using the latest data, he will discuss trends in consumer behavior, craft beer, and the beverage industry, as well as strategies for businesses to navigate a rapidly changing market. Other speakers from Lagunitas Brewing, Kona Brewing, Sierra Nevada Brewing Co., and more will present on a variety of industry-related topics. 603개의 전시자가 참가하는 BrewExpo America 2025는 맥주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원재료와 장비, 양조장, 유통 등의 분야뿐만 아니라 맥주관련 비즈니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금융 및 회계. 마케팅, 교육, IT, 컨설팅 등 모든 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참관자는 이 전시회를 통해 기술과 산업의 발전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품을 탐색하고, 시장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최근 맥주 시장은 장기간의 불황과 함께 불안정성이 높아지면서 향후 시장 흐름을 쉽게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CBC 2025를 통해 시장의 최신 트렌드와 기술 혁신의 방향, 제품 및 맥주 트렌드를 살펴본다면 미래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맥주시장에서 앞서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BrewExpo America 2025, featuring 603 exhibitors, will showcase a comprehensive range of products and services essential for the beer industry. This includes raw materials, equipment, breweries, and distribution, as well as key business operations such as accounting and finance, accounting, marketing, education, IT, and consulting. Attendee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explore new technologies, understand industry developments, discover new products, and gain insights into market trends. As the beer industry faces prolonged economic downturns and increased market instability, it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predict future trends. By attending CBC 2025, industry professionals can stay ahead of the curve by learning about the latest market trends,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emerging beer products, ultimately helping them reduce uncertainty and remain competitive in the evolving beer landscape. CBC 2025 Information Location: Indiana Convention Center, Indianapolis, Indiana, USA Dates: April 28 – May 1, 2025 Craft Brewers Conference: April 28 – May 1, 2025 BrewExpo America: April 29 – May 1, 2025
-
대한민국맥주박람회(KIBEX) 2025 역대 최대 규모로 성료2025.04.24대한민국맥주박람회(KIBEX) 2025 역대 최대 규모로 성료 Korea Int’l Beer Expo (KIBEX) 2025 Successfully Conclude with Record Participation - B2B 프로그램 확대, 산업 트렌드 확산으로 맥주·주류산업의 새로운 전환점 마련 - 협회 공동관을 구성해 참가한 한국수제맥주협회, K크래프트비어(K-Craft Beer) 인증 캠페인 시작 – Expanded B2B programs and emerging trends mark a new chapter for the beer and alcoholic beverage industries - The Korea Craft Brewers Association (KCBA), which participated through a joint pavilion, also launched the K-Craft Beer Certification Campaign. 국제 맥주 및 주류 산업을 잇는 대표 전시회인 제7회 대한민국맥주박람회(KIBEX) 및 드링크서울(Drink Seoul) 2025이 4월 12일 서울 코엑스 B홀에서 3일간의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성황리에 폐막했다. 이번 전시회는 총 244개사, 440개 부스 규모로 개최되어 전년 대비 약 19% 성장했으며, 25,294명의 참관객이 현장을 방문해 아시아를 대표하는 주류 전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다시금 입증했다. The 7th edition of Korea Int’l Beer Expo (KIBEX) 2025, Korea’s leading trade shows connecting the global beer and alcoholic beverage industries, successfully wrapped up on April 12 at COEX Hall B in Seoul. The three-day event welcomed an unprecedented number of participants and further solidified its position as Asia’s premier business platform for the beverage sector. This year’s exhibition featured 244 companies across 440 booths, representing a 19%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A total of 25,294 attendees — including industry professionals, buyers, and general consumers — visited the venue, reflecting the industry’s growing interest and signaling a strong recovery momentum in both domestic and global beverage markets. 올해는 산업간 실질적 교류 확대를 위한 비즈니스 프로그램의 강화가 돋보였다. 맥주 업계 최초로 도입된 도슨트투어(The Brew-In Tour) 프로그램은 맥주, 장비 및 설비, 원재료 분야로 구성되어 사전 모집 시작 단 1주일 만에 마감될 정도로 큰 관심을 모았으며, 바이어들에게는 전문적인 신제품 정보를, 참가사에게는 직접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동시 개최된 드링크서울에서도 와인과 전통주 부문 도슨트투어가 병행 운영됐다. 비전바이오켐과 한국수제맥주협회(KCBA)가 후원한 홈브루잉 아카데미 ‘Brew It Yourself’ 에서는 홈브루어들과 원재료에 대해서 의견을 나누고, 산업 전문가들과 함께 3개의 카테고리에 맞춰 멘토링을 진행하여 산업의 기반이 되는 홈브루어들을 양성하기 위한 첫 시작을 마쳤다. 또한, 미국 국가관, 중국 장비관, 글로벌 스폰서사 퍼멘티스, 비전바이오켐 등의 참가와 함께, 미국·브라질·필리핀 등 주요국 협회 및 바이어 700여 명이 방문하였으며, 해외 진출 및 협력 확대를 위한 필리핀수제맥주협회 및 브라질맥주전시회 주최기관과의 MOU 체결 등도 이번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One of the key highlights of this year’s event was the enhancement of business-driven programs. The industry-first “The Brew-In Tour”, a docent-guided tour segmented by beer, equipment, and ingredients, attracted overwhelming interest and was fully booked within a week of its announcement. The tour offered buyers structured insights into new products while providing participating companies with direct business leads. A similar program was also operated at Drink Seoul for wine and traditional liquor categories. The ‘Brew It Yourself’ homebrewing academy, co-hosted by Bision Corporation and the Korea Craft Brewers Association (KCBA), provided mentoring sessions focused on ingredients and brewing practices. Designed to nurture the next generation of homebrewers, the program served as a vital starting point for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of Korea’s craft beer ecosystem. Global engagement was another major theme of the show. The U.S. and China pavilions returned alongside key international sponsors such as Fermentis and Bision Corporation. Over 700 international delegates and buyers from the U.S., Brazil, the Philippines, and other countries visited the expo, facilitating meaningful networking and partnership opportunities. Notably, MOU agreements were signed with the Philippine Craft Brewers Association and Sol Eventos (organizer of CBC Brazil), signaling a commitment to future collaboration. 한국수제맥주협회, ‘K-Craft Beer’ 인증 캠페인 시작 Korea Craft Brewers Association Launches “K-Craft Beer” Certification Campaign 사단법인 한국수제맥주협회는 국내 수제맥주 산업의 정체성과 품질 경쟁력을 확립하기 위한 ‘K-Craft Beer 인증 캠페인’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협회는 이번 제7회 대한민국맥주박람회(KIBEX 2025)에서 회원 브루어리들과 함께 공동관을 운영하며, 전국 각지의 다양한 수제맥주를 한자리에서 선보였다. 협회는 특히 장인정신으로 정성껏 만든 고품질 수제맥주를 소비자에게 직접 소개함으로써, ‘수제맥주’라는 이름만 붙은 저품질 제품들과 차별화된 정체성을 강조했다. 이번 캠페인을 통해 협회는 소규모 양조장의 고품질 수제맥주 제품에 ‘K-Craft Beer’ 인증 마크를 부착, 진짜 크래프트 비어의 기준을 소비자에게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혼란스러운 ‘수제맥주’ 용어 사용으로 인한 소비자 혼선을 줄이고, 진정한 수제맥주의 가치를 부각시키겠다는 전략이다. The Korea Craft Brewers Association (KCBA) has officially launched the “K-Craft Beer Certification Campaign” aimed at establishing a clear identity and enhancing the quality competitiveness of Korea’s craft beer industry. At the 7th Korea International Beer Expo(KIBEX 2025), the KCBA operated a joint pavilion with its member breweries, showcasing a wide variety of craft beers from across the country. The KCBA especially emphasized authentic, high-quality craft beers brewed with craftsmanship, in contrast to low-quality products that are labeled as “craft beer” in name only. Through this campaign, the KCBA plans to affix the “K-Craft Beer” certification seal to high-quality products from small breweries, providing consumers with a standard for identifying genuine craft beer. This strategy aims to reduce consumer confusion caused by the vague use of the term “craft beer” and to highlight the true value of authentic Korean craft beer. 이인기 한국수제맥주협회장은 “대한민국 수제맥주가 죽었다고들 하는데 죽은 것은 편의점의 저가형 맥주”라며 “편의점 매대에서 수제맥주라고 팔리던 제품들은 대부분 사라졌지만 전국에는 진짜 수제맥주를 만드는 회사들이 건재하다. 이번 인증 캠페인을 통해 소비자들이 저품질 제품과 고품질 수제맥주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국내 수제맥주 산업의 신뢰 회복과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협회는 한국 수제맥주의 해외 진출을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최근 협회는 필리핀수제맥주협회 및 브라질맥주전시회 주최기관과 각각 MOU를 체결하여, 상호 시장 진출, 홍보 협력, 산업 발전을 위한 교류 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한국 수제맥주의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Lee Inki, President of the Korea Craft Brewers Association, stated, “Some say Korean craft beer is dead, but what has really disappeared are the low-cost products sold in convenience stores.” He added, “While those so-called ‘craft beers’ have vanished from shelves, many breweries across the nation continue to produce real craft beer. Through this certification campaign, we hope to provide consumers with a clear standard to distinguish between low and high-quality products, restoring trust in the industry and contributing to its premiumization.” Meanwhile, the KCBA is also actively pursuing global expansion. It has recently signed MOUs with the Philippine Craft Brewers Association and Sol Eventos (organizer of CBC Brazil),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mutual market entry, promotional collaboration, and industry development.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lay the groundwork for introducing Korean craft beer to the global market. 전시와 함께 진행된 대한민국국제맥주컨퍼런스(KIBCON)에서는 전 세계 맥주 협회 및 업계 전문가들이 15개 세션, 23명의 연사를 통해 산업 트렌드 및 기술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원재료, 장비, 양조기술 등 실제 산업에 적용 가능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침체된 시장에서의 위기 극복 전략과 글로벌 협력의 방향성도 모색됐다. 또한, 올해 4회째를 맞은 대한민국국제맥주대회(KIBA) 2025는 21개국 101개 브루어리, 467개 맥주 출품으로 전년 대비 140%의 성장을 기록하며 아시아 대표 상업맥주대회로 자리매김했다. 42명의 글로벌 심사위원단이 국제 기준에 따라 심사하면서 국내외 맥주 품질 향상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The concurrent Korea Int’l Beer Conference (KIBCON) hosted 15 sessions featuring 23 speakers from global brewing associations and technical experts. Discussions spanned a wide range of topics, including brewing innovation, ingredient trends, and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 current market slowdown through global cooperation. Meanwhile, the Korea Int’l Beer Award (KIBA) 2025 marked its fourth edition with a significant milestone: 467 beers from 101 breweries across 21 countries, reflecting a 140%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Judged by a panel of 42 international experts, the competition continues to gain recognition as one of Asia’s premier commercial beer awards. 드링크서울 2025는 안동시, 영동군 공동관을 중심으로 전통주, 와인, 증류주, 사케, 미드 등 다양한 주종을 선보이며 전시장을 찾은 참관객과 업계 관계자들에게 주류 시장의 확장성과 다양성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했다. 오픈스테이지에서는 사케 및 증류주 마스터클래스, 궁중술빚기 대회 등 교육 및 체험 중심의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되어 참가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Drink Seoul 2025 showcased the expanding diversity of the alcoholic beverage market, with a wide range of traditional Korean liquors, wine, distilled spirits, sake, and mead. The joint pavilions from Andong City and Yeongdong County highlighted Korea’s regional specialties, while on-site open stage programs such as sake and spirit masterclasses and the Royal Liquor Brewing Contest enriched the educational and interactive experience for attendees. 대한민국맥주박람회 및 드링크서울 주최사인 ㈜지엠이지의 이해정 대표는 “올해 KIBEX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 실제 비즈니스 성과와 산업 확장을 동시에 이끌어낸 플랫폼으로 평가받는다”며 “앞으로도 아시아 맥주 산업을 이끄는 중심 전시회로서, 국내외 기업과의 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대한민국맥주박람회 및 드링크서울은 2026년 4월 16일부터 18일에 개최될 예정이며, 더욱 다양한 글로벌 참가와 프로그램으로 업계와 참관객의 기대에 부응할 예정이다. Mr. Harper Haejung Lee, CEO of GMEG, the organizer of KIBEX, stated, “This year’s event has grown into a results-driven platform that goes beyond a traditional exhibition. We will continue to expand its reach as a central hub for the Asian beer industry, fostering business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KIBEX 2026 will return from April 16 to 18, 2026, promising even more international participation and enhanced programs tailored to the evolving needs of the industry.